본문 바로가기

JAVA

[5] 클래스

728x90

클래스

위와 같은 형식으로 만드는 틀을 클래스라고 합니다. 클래스는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해줍니다.

 

 

멤버

클래스 안에 있는 변수나 함수를 말합니다. 아래와 같이 크게 2가지로 나눠서 볼 수 있습니다.

1. 필드

2. 메소드

 

 

필드

클래스 안에 있는 변수를 말합니다.

 

 

메소드

클래스 안에 있는 함수를 말합니다.

 

 

객체(인스턴스)

클래스 타입의 변수를 말합니다. 객체 또는 인스턴스라고 부릅니다.

 

 

객체 생성하기

new 키워드를 사용해 객체를 생성하며, 객체는 여러 개 생성해서 각 객체에 대입할 수 있습니다.

 

 

※ 참조형 변수

클래스의 객체는 객체가 생성되어있는 주소값을 가리킵니다. 앞서 배웠던 배열의 변수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런 변수들을 참조형 변수라고 합니다.

 

 

멤버에 접근하기

멤버에 접근해 사용을 하려면 도트연산자를  사용합니다.

 

 

클래스가 있는 파일 컴파일

파일을 컴파일하면, 각 클래스 별로 클래스 파일이 만들어집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생성된 클래스 파일을 같은 폴더에 넣어야 합니다.

 

 

메소드 안에서 멤버 접근하기

메소드에서 자기 자신의 클래스에 있는 멤버에 접근할 때는 별도의 도트 연산자를 쓸 필요 없이, 그냥 필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다만, 자기 자신의 멤버를 쓴다는 것을 명시적으로 나타내고 싶을 때는  this라는 키워드를 붙여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메소드의 인수

인수는 함수에 전달되는 정보를 말합니다.

메소드의 인수는 2가지로 나뉩니다. 호출될 때 2가지의 개수가 맞지 않으면, 메소드를 호출할 수 없습니다.

1. 가인수

2. 실인수

 

 

가인수

가인수는 메소드에 선언되어 있는 인수를 말합니다. 가인수는 메소드가 호출될 때 생성됩니다. 호출되는 시점에 값이 저장됩니다. 가인수가 여러 개 선언되어 있을 때는 "인수목록"이라고도 합니다.

 

 

실인수

실인수는 메소드 호출 시 전달되는 인수를 말합니다. 실인수로 리터럴 값이 아닌 변수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리턴값

메소드가 반환하는 정보를 말합니다. 함수는 하나의 리턴값만 호출된 곳으로 리턴할 수 있습니다. 리턴이 실행되면, 함수가 종료됩니다.

반환값이 있는 메소드라고 하더라도 호출한 곳에서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시말해, 대입 연산자와 함께 사용할 필요는 없다는 뜻입니다.

 

void

타입이 없음을 나타내는 키워드입니다. 이런 타입의 메소드인 경우, 기본적으로 블록의 끝까지 실행되지만, 중간에 return;을 만나면 함수가 종료됩니다.

728x90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클래스 형 변수  (0) 2021.05.21
[6] 접근 제한  (0) 2021.05.21
[4] 배열  (0) 2021.05.17
[3] 입력  (0) 2021.05.11
[2] 변수  (0) 2021.05.10